2023. 11. 6. 23:02ㆍ상담교사 임용/과목 : 전문상담
Super의 직업 개발 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직업 발전과 성장은 다섯 가지 발달 단계를 거칩니다.
이러한 단계는 성장기, 탐색기, 확립기, 유지기, 그리고 쇠퇴기로 다섯 가지 주요 단계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단계는 성장과 함께 개인의 직업 태도와 결정에 관련된 변화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순서대로 진행되지만 예외적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의 특성, 경험 및 환경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 성장기 (0-14세)
환상기: 어린이들은 이 단계에서 욕구를 중시하며 환상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때, 직업과 관련이 없는 활동에 흥미를 가집니다.
흥미기: 어린이들은 흥미로운 활동의 목표와 내용에 중점을 둡니다.
능력기: 능력을 중요시하며 직업 요구 조건을 고려하기 시작합니다.
2. 탐색기 (15-24세)
잠정기: 이 단계에서 개인은 욕구, 흥미, 능력, 가치, 그리고 직업적 기회를 고려하여 잠정적인 진로를 선택하려고 합니다.
전환기: 취업 또는 직업 교육과 같은 현실적인 요인을 고려하며, 실질적인 직업 선택을 고려합니다.
시행기: 선택한 적합한 직업을 선택하고 그를 실행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 결정화 (crystalization): 호기심을 바탕으로 자신과 직업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며 진로 선호가 점점 분명해집니다.
- 구체화 (specification): 몇 가지 직업 선호 중에서 특정 직업 선호로 구체화하며, 특정 선호가 좁혀질 때 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 의사결정 능력을 습득합니다.
- 실행 (implementation): 선택한 특정 직업에 노력을 기울이며 발전합니다.
3. 확립기 (25-44세)
시행기: 이 단계에서는 적합한 분야를 찾기 위한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정기: 안정된 직업 위치를 확보하며 진로를 확립합니다.
- 정착 (stabilizing): 조직문화에 적응하고 직업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며 직업 지위를 안정화합니다.
- 공고화 (consolidating): 자신의 능력이 직업 세계에서 인정받으며 긍정적인 태도와 작업 습관을 형성합니다. 직장 동료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자기 정체성을 공고히 합니다.
- 발전 (advancing): 역할과 정체성을 확장하며 더 높은 직업적 책임을 수행합니다.
4. 유지기 (45-65세)
보유 (holding): 성취한 것을 유지하며 현재 직업을 계속합니다.
갱신 (updating): 직업 관련 기술과 지식을 최신 정보로 갱신하려고 노력합니다.
혁신 (innovating): 다른 방식을 시도하며 도전적인 과제를 수행합니다.
5. 쇠퇴기 (65세 이후)
감속기: 수행 속도가 감소하고 직무 변화, 능력의 쇠퇴가 나타납니다.
은퇴기: 은퇴를 고려하며 시간제 일, 자원봉사, 여가 활동 등 다른 활동을 탐구합니다.
각 단계에서 개인은 직업적 경험을 통해 자아를 발전시키고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합니다. 직업발달은 삶의 다양한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개인의 성장과 변화에 맞게 진화합니다.② 탐색기(15 ~ 24세) : 진로발달에 있어서 현실감이 증가된다.
'상담교사 임용 > 과목 : 전문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 프로이트 방어기제 10가지 포인트 정리 (0) | 2023.11.08 |
---|---|
[성격심리] 블록(block) 성격 측정 자료 분류 / LOST 자료 특징 (0) | 2023.11.08 |
[임용] 생애진로사정(LCA) : 4가지 요소 & 세부내용 정리 (0) | 2023.11.05 |
[임용] Super 수퍼의 C-DAC 모형 사정 및 평가 / 4가지 평가 (1) | 2023.11.04 |
[임용] 상담이론 : 상담의 기초 / 상담의 개념과 목표 / 상담의 원리 / 통합적 치료(상담) (0) | 202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