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 임용 전문상담 기출 문제 풀이 : 게슈탈트 접촉경계혼란

2023. 11. 1. 16:06상담교사 임용/기출 : 전문상담 임용

반응형

접촉경계 혼란 : 내사 - 투사 - 반전 - 편향 - 융합 -  자의식

 

내사 (Introjection):
내사는 개인이 타인의 신념, 가치관, 그리고 기준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려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이는 개인이 외부의 의견이나 가치관을 자신의 것처럼 받아들이는 경향을 의미하며, 내적인 성장과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투사 (Projection):
투사는 개인이 자신이 가진 것을 부정하고 다른 사람에게 돌려서 자신을 덮어버리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이는 대개 자기 자신의 부정적인 특성이나 감정을 다른 사람에게 투사하여 자신을 방어하려는 심리적 방어 기제입니다. 투사는 대인관계에서 감정적 거리를 유지하거나 갈등을 회피하는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전 (Turning Against the Self):
반전은 개인이 타인이나 환경에 대해 해야 할 일을 자신에게 향하도록 변경하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이것은 자신을 지나치게 비난하거나 자기 비판적인 태도를 가지는 경향을 나타내며, 대인관계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신에 대한 내부 갈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융합 (Fusion):
융합은 밀접한 관계에 있는 두 개인이 서로의 차이점을 무시하고 하나로 녹아드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종종 관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각자의 개별성과 정체성을 유지하는 중요성을 간과할 수 있습니다. 융합은 대인관계에서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편향 (Splitting):
편향은 개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내부 갈등이나 외부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했을 때, 환경과의 접촉을 회피하거나 자신의 감각을 둔화시키려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개인은 주관적이고 극단적인 관점을 취하거나 물리적, 감정적 거리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대인관계와 정신적 안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자의식 (Self-Consciousness):
자의식은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해 지나치게 의식하고 관찰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자기에 대한 지나친 비판, 자기 의식, 또는 사회적 평가에 대한 과도한 민감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자아 정체성과 자신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응형